본 글은 최근 내가 직접 활동하며 느껴 본 재능마켓 플랫폼 숨고 라는 업체에 대해 진솔한 후기를 작성해 보려고 한다. 나는 이곳에서 소비자의 입장으로서 고객으로 사용해 보기도 했고 생산자의 입장에서 고수로 활동하고 있다. 내가 한 달 전 등록한 분야는 '블로그 마케팅'이었다. 이를 통해 소비자와 생산자 분들 모두 꼭 알고 계셔야 할 부분을 각 항목마다 얘기해 보려 한다. [목차] 1. 사전 지식 1) 재능마켓 플랫폼의 정의 2) 우리나라의 재능마켓 플랫폼 목록 2. 재능마켓 시장의 장단점 사전 지식 재능마켓 플랫폼이란 무엇인가? 각자 개인이 갖고 있거나, 이용하고 싶은 타인의 재능을 돈을 주고 사고팔 수 있는 시장. 프리랜서 대상 서비스 중개 플랫폼 시장을 의미한다. 우리나라 재능마켓 플랫폼 목록 사실 ..
오늘은 내가 얼마 전 우연히 선배님들에게 알게 된 틱톡 이벤트를 소개하려고 한다. 아마 시작한 지는 꽤 된 것 같은데 내가 조금 늦게 알게 된 것 같다. 물론 듣자마자 공유해 볼만한 가치가 있겠다 싶어서 시간을 내서 글을 쓴다. 이 글을 통해 얻게 될 정보는 매우 간단하고 효과적이다. 만약 현재 틱톡을 사용하지 않고 있었어서 아직 신규 가입을 하지 않은 경우 본 글의 초대 코드를 입력하거나 초대 링크를 통해 가입하면 그 즉시 5천 원을 지급받는다. 만약 기존에 이미 사용 중인 분들에 한해서도 초대 코드 E9224466 입력을 통해 동일하게 혜택을 받을 수 있다. 그렇다면 이들은 왜 이런 이벤트를 제공할까? 먼저 여기서 언급되는 SNS 앱 틱톡을 잘 모르시는 분들을 위해 관련 내용을 살펴보자. 근래 전 세..
공공기관 감사보고서는 도대체 어디서 볼 수 있을까? 기획재정부 알리오 ALIO 소개 우리가 공공기관 감사보고서를 필요로 할때 가야 하는 곳 우리는 살면서 종종 공공기관의 감사보고서를 필요로 하는 때가 있다. 예를 들어 우리나라 서울빅5병원 중 최고의 의료기관으로 꼽히는 서울대병원을 조사해 본다고 가정하면 그에 관련된 정보는 어디서 얻을 수 있을까? 공식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는 상세한 숫자와 함께 제시되는 내용들이 적다 보니 보다 상세하고 전문적인 내용이 부족해서 아쉬울 때가 많다. 알리오 ALIO 소개 공공기관 경영정보 공개 시스템 알리오의 경우 2006년에 기획재정부 주관으로 구축된 시스템이며 구축 목적은 국민들이 공공기관의 경영과 관련된 주요 정보를 인터넷을 통해 종합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다트 전자공시 시스템 소개 다트에 대한 기본적인 모든 것 DART 다트 단어 자체에 대한 해석 우리가 흔히 말하는 다트는 영어 단어들의 첫 글자를 모아놓은 약자인 DART를 의미한다. Data Analysis, Retrieval and Transfer System 용어로 만들어졌다. 다행스럽게 한국어로 부르기에 '다트'라는 단어가 받침도 없고 쉽고 간편하게 부를 수 있어서 전자공시시스템보다는 다트라는 용어로 더 많이 사용되는 듯하다. 실제로 구글(Google) 키워드 플래너 프로그램을 통해 매달 유저들이 구글 페이지에서 검색해보는 횟수를 비교해보면 다트가 전자공시 시스템보다 20배가 넘게 많이 사용되는 것을 볼 수 있다. 그래서 보통 우리가 이 사이트를 의미할 때는 DART라는 용어로 한글로는 다트라고 ..